[SET_IMAGE]1,original,left[/SET_IMAGE]소방방재청은 지난 7월1일부터 공공기관과 종사원 300인 이상 민간 기업에서 주40시간근무제가 본격 실시됨에 따라 재난안전관리대책을 추진중이다. 이번 대책은 공무원들이 쉬는 토·일요일에 발생할 수 있는 재난행정의 공백을 최소화하고 여건 변화에 대응한 사회 안전 시스템의 조기 안정 도모를 통해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는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소방방재청이 이처럼 재난안전관리대책 마련에 서둘러 나선 것은 공공기관과 종사원 300인 이상 민간 기업에서 주40시간근무제에 따른 재난환경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소방방재청은 사회 전체적으로 주40시간근무제가 확대됨에 따라 국민의 주말 여가활동이 늘어나고, 또 주말에 이동인구가 많아짐에 따라 안전사고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주말여행은 물론 등산·레포츠 등 옥외 여가활동이 확산되면서 펜션 등 숙박시설이나 유원지, 모험 레포츠 시설을 이용하는 국민이 주말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40시간근무제에 다른 공공기관의 토요일 휴무로 재난 관리 책임기관의 재난관리 공백이 빚어질 수 있고, 이에 따른 유관 기관과의 협조 부족으로 대응 또한 차질이 우려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소방방재청은 우선 재난상황 관리를 강화해 ‘간부공무원 상황근무 실시 및 상황 단계별 비상근무 실시’ ‘재난 유형별 유관기관·단체와의 긴급 연락체계(Hot-line) 구축 운영’ ‘재난정보 전달 체계 다양화 및 재난정보 신속 전파’ 등의 대책을 마련했다.
또 재난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을 위해 소방·전기·가스 등 재난 책임기관 간 연계를 강화해 ‘효율적인 현장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으며, 이재민 수용 시설을 지정하고 구호물자를 신속하게 지급할 수 있는 체계도 완비할 계획이다.
한편 소방방재청은 현장 중심의 ‘안전한 휴일 보내기’ 운동 캠페인을 ‘국민·언론 맞춤형’으로 펴기로 했으며, 이동안전 체험차량을 적극 활용해 순회교육과 홍보활동도 실시할 계획이다.
소방방재청은 민박·펜션 등 주말 숙박시설을 대상으로 안전점검과 더불어 불법 영업행위 단속을 강화하고, 숙박시설 밀집지역에는 소방점검을 확대하는 것과 함께 소방공무원을 이들 시설과 가능한 한 가장 가까운 곳에 배치하기로 했다. 또 복합상영관 등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전기·가스 안전점검과 함께 재난을 예방할 수 있도록 사전에 살피는 활동을 강화하고 ‘간부 현장확인제’를 병행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소방방재청은 해수욕장·산악지역 등 재난 위험 증가 지역을 집중관리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소방방재청은 ‘수영장·야영지 등에 경고 및 안전 표지판 정비·보강’ ‘순찰차·의용소방대 등을 활용한 사고 빈발 지역 예찰(豫察) 활동 강화’ ‘조난자 긴급 구조 체계 확립 및 안전관리 계도’ 등의 대책을 마련했다.
[RIGHT]문의: 소방방재청 기획총괄과 홍성렬(02-3703-5212)[/RIGHT]